본문 바로가기

naver

(5)
한국의 '오픈소셜' ZDNet 인터넷 뉴스 섹션에 네이버 빼고 구글로 뭉쳤다라는 기사가 떴네요. 기사의 시작이 화려합니다. 구글발 ‘오픈소셜’ 바람이 한국 포털업계를 덮쳤다. NHN 네이버만 빼고 5위권 포털들이 모두 구글과 손을 잡았다. 골자는 네이버를 제외한 5개 포털업체들이 플랫폼과 콘텐츠 공유를 통해 오픈소셜을 지향하게 됐다는 것으로, 5개 업체는 다음, 야후, 파란, 싸이월드, 마이스페이스 등이라 합니다. (hoogle.kr에 보니, 이외 네오위즈(세이클럽), 안철수연구소,넥슨 등은 도입을 논의 혹은 완료한 상태라 하고요.) 현재 한국의 블로고스피어는 다음블로거뉴스의 영향력이 크고, SNS로는 싸이월드만한 강자가 없으니 이 두 곳만 손잡는 것만도 그 영향력은 적지 않을 것 같습니다. 오픈소셜에 참여한 사이트 회원수..
유튜브에 휴대폰 동영상 올리기 기능에 관하여 유튜브에도 휴대폰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올릴 수 있습니다. 유튜브에 모바일로 동영상을 올리는 자세한 방법은 "생각보다 간단한, 휴대폰 동영상 Youtube에 바로 올리기"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유튜브에서 제공하는 이메일주소로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를 통해 동영상을 첨부해서 메세지를 보내면, 손쉽게 업데이트가 됩니다. 저도 가끔 활용하는데 참 편합니다. PC를 거칠 필요가 없는 편리함이 중요한 듯 합니다. 유튜브에서 제공하는 모바일 동영상 업데이트 기능의 특이한 점은, 계정마다 모바일 업데이트를 위한 고유의 이메일주소를 제공해주는데, 이 메일주소는 자신의 휴대폰번호 뿐만 아니라 그 누구의 휴대폰을 통해서라도 업데이트가 가능하다는 점이었습니다. 즉, 해당 이메일주소는 자..
한국의 웹표준 및 웹접근성에 관하여 & CSS Design 사이트 소개 CSS Mania 사이트를 소개합니다. 이 사이트에서는 웹표준 및 웹접근성에 알맞고 근사하게 만들어진 사이트들을 모아 소개해주고 있습니다. CSS의 다양한 디자인 활용 예들을 살펴볼 수 있다 합니다. 지금 현재 1만3천개 이상의 웹사이트들이 등록돼 있네요. 국내외 웹디자이너들에게는 이미 꽤 유명한 사이트라 합니다. >> CSS Mania www.cssmania.com CSS Webdesign에 관심이 있다면 아래 리스트도 확인해보심이 좋을 듯 합니다. 아래 리스트는 mjworks.kr에서 가져왔습니다. >> Best Web Gallery >> CSS Based >> CSS Creme >> We Love WP 최근 크로스브라우징 등 웹표준 및 웹접근성에 대한 중요성과 관심이 매우 큽니다. 그런데 한국은 세..
국내 소셜미디어 활성화에 대한 고민 앞서 인터넷 이용인구 세계 10위라는 포스트를 올렸습니다. 국내 인구수는 5,000만명이 안되는 걸 생각해보면 대단한 인터넷 이용률이죠. 모바일 플랫폼까지 이용하는 인구를 포함한다면 실제 수는 더 될거라 보고요. 이러한 인터넷 이용률에 발맞추어, 국내의 블로그 이용률 또한 무시못할 정도입니다. 마키디어님이 블로그에 게시한 한국 소셜미디어 시장 규모에서 아래와 같이 국내와 해외의 서비스형 블로그 이용자수 집계(2008년 11월)를 소개하셨습니다. 국내 블로그 네이버블로그: 2,514만명 티스토리: 1,781만명 해외 블로그 블로거닷컴: 2,493만명 워드프레스: 2,091만명 얼핏 위 숫자만 봤을때 한국의 블로고스피어의 규모는 기대 이상이라 생각할 수 있겠죠. 작은 나라 한국 안에서의 숫자가 인구수로는 비..
네이버의 변화, 그리고 블로고스피어. 최근 네이버에서 블로거 간담회를 열었다고 합니다. 저는 참석하지 못했지만, 간담회를 다녀오신 분들의 후기들을 읽어보며 문득 떠오른 생각을 몇 자 적어봅니다. 아래는 제가 읽은 간담회를 다녀오신 분들의 후기들. 네이버 블로거 간담회에서 공개된 15가지 사실들 네이버 블로그 정책변화의 숨겨진 진실들 네이버 블링크 서비스 계속할 것인가? 네이버의 순수한 도발 네이버 블로거 간담회 후기 : 네이버 제국은 이상무~ 기대 이상이었던 네이버 블로거 간담회: 네이버의 개방성에 대한 의지를 발견하다. 네이버블로그, 이제 돈까지 벌수 있다? 요즘 말도 많고 탈도 많았던 네이버. 먼저 저는 개인적으로, 지금까지 DAUM과 더불어 국내 인터넷 이용률을 높이고 쉽고 빠른 정보습득 채널을 구축해낸 네이버에 높은 점수를 주고 싶습..